심방세동, 항응고 치료 중요 허혈성 뇌경색 예방하는 가장 간단하고 강력한 치료 심방세동은 임상에서 접하는 지속성 부정맥 중 가장 흔하며 2010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2,000만 명의 남자 1,200만 명의 여자 환자가 있으며 선진국에서 더욱 유병율이 높은 질환이다. 20세 이상의 인구에서 유병율이 3% 정도이며 고령, 고혈압. 심부전, 관상동맥 질환, 판막질환, 비만. 당뇨병, 만성 신장질환 등에서 유병율이 높다. 항응고 치료의 중요성 심방세동의 치료는 주로 맥박수 조절과 항응고 치료, 심방세동의 재발을 예방하는 치료와 율동 조절로 분류된다. 현재 증상이나 기능을 조절하지 않음에도 항응고 치료가 포함되는 이유는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이기 때문이다. 심방세동으로 인한 사망 중 많은 부분이 심부전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