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꼬리딱새 (학명: Terpsiphone atrocaudata)
안경을 낀듯한 눈과 봉황같은 긴 꼬리가 매력
수컷 | 암컷 |
우리나라에서 아름다운 새 하면 어떤 새들이 떠오를까요?
나름대로 많은 새 이름이 나올 수 있겠지만 긴꼬리딱새도 꼭 포함 될 거라는 생각이 든다.
긴꼬리딱새!
이 새를 예전에는 삼광조(三光鳥)라고도 했다. 삼광조가 일본식 이름이라 우리식으로 긴꼬리가 특징이라 긴꼬리딱새로 바뀐 새다.
긴꼬리딱새는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에서 겨울을 보내고, 여름이면 제주를 찾아와 한라산 계곡과 곶자왈, 한라수목원과 We hotel 주변 계곡에서 번식 하며, 이들의 서식처가 점차 확장 되어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도 번식에 성공한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긴꼬리딱새의 영어 명칭은 ‘Japanese Paradise Flycatcher’ 이다. 공중을 날아다니면서 나방이나 나비, 벌레들을 낚아챈다고 하여 ‘Flycatcher’라고 영어 이름을 붙여졌다.
‘paradise’는 아마 생김새가 부리와 눈테가 파란색을 띄고 있어서 마치 안경을 끼고 있는 듯이 우아하고 천국에서나 봄직한 새라서 붙인 이름이 아닐까 한다.
암컷의 크기는 약 19cm정도 인데 비해 수컷은 꼬리의 길이만도 35cm 정도이니 날아가는 모습을 보노라면 환상 그 자체이며 꼬리가 매우 길어서 봉황의 꼬리를 가졌다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꼬리가 지나치게 길면 생활하기 불편하기도 할 것이다. 너무 화려해서 천적의 눈에 잘 띄어 생명이 위험 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먹이를 사냥할 때도 빨리 움직일 수 없어서 먹이 잡는데도 불편할 것이다.
그러면, 왜 이렇게 긴 꼬리를 가지는 걸까요? (계속)
'병원매거진 > 제주의 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적으로 2만여 마리 불과…멸종 위기 보호새 (0) | 2016.11.28 |
---|---|
긴꼬리는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화 (0) | 2016.10.27 |
제 새끼 버리고 다른 새끼를 기르는 운명 (0) | 2016.08.29 |
새끼 지키기 위해 다친 듯 행세하며 멀리 유인 (0) | 2016.07.28 |
아침․저녁, 기후, 계절 등에 따라 울음소리가 달라져 (0) | 2016.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