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병원

이명아명,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자신의 몸처럼 돌본다

병원매거진/언론인칼럼

치졸한 경제보복 ‘참 나쁜 이웃’ 일본

제주한라병원 2019. 8. 30. 16:25

치졸한 경제보복 ‘참 나쁜 이웃’ 일본



‘이웃사촌’ 더불어 살았던 우리 선인들의 철학 

배려와 존중 속에 서로를 우선 챙겼던 이웃들

우리나라 떡을 같이 나눌 만한 이웃 갖지 못해

일본 침략 반성 않고 ‘위안부’ 피해엔 망발까지

반도체 핵심부품 수출 제한 등 경제보복 본격화

국민들 “독립운동 못했어도 불매운동은 하자”

일본 맥주 99% 감소·관광지 직격탄 등 효과도

한민족 자존심 문제 “고난 있어도 굴복은 없다”




‘이웃사촌’ 이웃과 더불어 살았던 우리 선인들의 철학이 담겨 있는 말이다. 삶이 풍족하지는 못했지만 제사라도 지내고 나면 꼭 이웃이랑 떡과 음식을 나누었다. 그 뿐만이 아니었다. 상(喪)이 나거나 혼사 등 큰일이 있으면 우리 집 너희 집이 없었다. 갑자기 소나기라도 오면 우리 빨래보다 옆집 빨래를 먼저 챙겨주곤 했던 게 우리의 이웃이었다. 


서로 배려와 존중이 있어 가능한 일이다. 그렇지 못한 관계도 있다. 아이들이란 아무리 주의를 줘도 실내에서 뛰어다니기 일쑤다. 자신들도 자식을 키웠으면서 번번이 “왜 애들이 위층에서 시끄럽게 뛰어 다니느냐”고 시비를 걸어오면 얘기가 달라진다. 심지어 우리 애들에게 큰 잘못도 없는데 손찌검을 해댄다면…. 이런 이웃에겐 떡이고 뭐고 필요 없다. 한판 붙어야 한다. 예전과 같지 않아 이젠 좋은 이웃을 만나는 것도 복이 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안타깝게도 떡을 나눌 만한 이웃을 갖지 못했다. 일본이다. 지리적으론 아주 이웃이지만 하는 짓이 밉기 그지없다. 과거엔 태평양전쟁을 도발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과 필리핀 등을 침략, 커다란 고통을 줬다. 


그 가운데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아픔은 현재진행형이다. 광복 74주년을 하루 앞둔 지난 14일에는 서울 광화문 옛 일본 대사관 앞에서 1,400번째 ‘수요집회’가 열렸다. 일본 정부의 사죄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명예 회복을 촉구하며 1992년 시작돼 28년 째 이어오며 1,400회를 맞은 것이다.


한국과 중국·베트남 등에서 일본군 위안부 전체 피해자는 20만 명으로 추정된다. 그런데도 일본은 ‘모르쇠’다. 여전히 “강제 동원된 위안부는 없다”고 생억지다. 아베 총리 측근들은 “한국에는 기생문화가 있었고 위안부들은 경제적 이득을 위해 종군했다”는 망발까지 늘어놓고 있다.


그것도 모자란 듯 이젠 경제보복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7월 4일 불화수소 등 우리나라 반도체 관련 핵심 소재 3개 품목에 대한 수출규제를 시작했다. 8월 2일에는 한국을 수출절차 간소화 혜택을 주는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겠다고 발표했다. 우리 정부도 8월 12일 백색국가(수출절차 우대국가) 명단에서 일본을 제외하는 맞대응 조치를 취했다.



경제보복의 표면적 이유는 지난해 10월 우리나라 대법원이 “일제의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해 일본 기업이 배상하라”는 판결 때문이다. 그보다 2015년 12월 박근혜 정부와 ‘짝짜꿍’ 해치운 ‘불가역적이라던’ 위안부 합의를 문재인 정부가 인정하지 않는 것에 대한 보복 성격이 더 크다고도 보여진다.


2015년 합의 조건은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해 한국이 설립한 ‘화해치유재단’에 일본의 10억엔(대략 100억원) 출연이 전부다. 당시 당사자인 아베 정부는 “절대로 배상금이 아니”라는 선언에도 불구, 박근혜 정부는 ‘배상금 성격’이라고 우기는 어불성설의 광경도 연출됐었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 단체와 국민들의 비난이 쏟아졌다. 가해자의 사과도 받아내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합의금도 ‘꼴랑’ 100억원이었다. 돈이 목적은 아니었지만 ‘진정성’을 가늠해볼 수는 있었다.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 지방 대지진 때 인도적 차원에서 위안부 할머니들까지 동참해 우리 국민들이 성금으로 전달해준 돈만도 560억원이었다. 위안부 피해 당사자 할머니들의 진노는 당연했다. 김복동 할머니(당시 90세)는 “우리들의 한(恨)은 돈의 문제가 아니다”며 “일본의 정식적인 용서 구하기와 명예 회복”이라고 천명했다.


이에 지난해 11월 문재인 정부는 “2015년 합의로는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면서 ‘화해치유재단’을 해산시켜 버렸다. 아울러 ‘일본 정부의 사과와 돈의 성격은 배상금’이라는 대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진솔하게 사과하면 될 일을 일본은 버티고 있다. 사람에게 ‘놈’과 ‘님’이 있는 것처럼 이게 일본과, 2차 세계대전을 처절히 반성하는 독일 간 국격(國格)의 차이다. 엄연한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는 일본의 모습에서, 사냥개에게 쫓기다 숨는다고 수풀 속에 머리만 처박는 꿩의 어리석음이 교차된다.


그리고 경제 보복에 나선 일본, 치졸하기까지 하다. 이웃끼리 있으면 베풀고 어려우면 도와주는 게 인지상정이다. 일본은 앞선 기술 몇 개 있다고 “무릎 꿇으라”며 거들먹거리고 있다. 먹고 살기 힘들었던 초등학교 시절 복종하면 과자를 나눠주던 졸부의 아들이 떠오른다. 배는 고팠지만 머리를 숙이지 않았던 기억이 새롭다. 배는 허했지만 가슴을 뿌듯했다.



이처럼 우리 국민들은 일본 제품 불매로 경제보복에 맞서고 있다. ‘가지 않습니다. 사지 않습니다’를 실천하는 ‘NO 재팬’ 운동에 불이 붙었다. 자발적으로 시작된 불매운동은 SNS와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 정보를 주고받으며 전방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독립운동은 못해봤어도 불매운동은 해보자”고 한다. 한민족의 자존심을 건드리고 만 것이다.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불매운동 오래 못갈 것”이라고 일본 본사 임원이 공언했던 유니클로의 7월 매출은 전월 대비 70.1%나 급감하는 등 직격탄을 맞았다. 일본맥주는 감소세가 가속화, 시장 퇴출 수준이다. 외국 맥주 부동의 1위였던 일본맥주는 7월 판매액이 45% 줄면서 3위로 추락했다. 불매운동이 더욱 거세지며 8월 1~10일 일본맥주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99%나 급감했다. 


일본 여행업도 예외는 아니다. 아오모리·훗카이도·오사카·구마모토·벳부·유후인·규슈지방엔 치명타 수준이라고 한다. 한·일 갈등이 격화, 한국인의 일본 여행이 80%가량 감소할 경우 일본의 피해액이 10조원을 초과할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결국 국민이 희망이다. 일시적 고난은 있어도 굴복은 없다. 일본의 행태를 보면 외출할 때 집을 봐달라고 했다간 물건을 훔쳐가는 것도 모자라 기둥마저 뽑아버릴 이웃 같다. 안중근 의사를 비롯한 많은 우리 선인들이 왜 일본에 피로써 대항해야 했는지 이해가 된다.



<김철웅 전 제주매일 편집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