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적 역행성 내시경 담췌관 조영술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은 위와 십이지장 질환의 유무를 평가하고 조영제를 사용하여 췌관과 담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법입니다. 내시경을 식도에 통해 십이지장까지 삽입한 다음 십이지장 유두부(담즙과 췌장액이 배출되는 조그만 구멍)를 통해 담관 및 췌관에 역행성으로 조영제를 주입시켜 담관 및 췌관의 병변을 관찰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시술 전에 진정제와 장관분비 억제제, 장관운동 억제제를 주사하지만 구역, 구토, 호흡곤란, 경부통증, 복부팽만감, 복통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타 합병증으로는 과다진정으로 인한 호흡저하 또는 저혈압, 저산소증, 급성췌장염, 담관염, 패혈증, 십이지장 천공, 담도 천공, 흡인성 폐렴 등이 있을 수 있고 일반적인 소화관 내시경 검사보다 시간도 더 걸리고 보다 숙련된 전문가의 기술이 필요로 하는 검사입니다. 주로, 담관협착 등의 담도계 질환, 원인 불명의 황달, 췌장질환 환자에서 시행되며, 진단적인 담췌관 조영 이외에 추가로 다음과 같은 치료 시술을 부가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1)내시경적 유두 절개술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유두부 협착을 해소하거나 담관석 또는 췌관석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술입니다
2) 내시경적 담석제거술
담즙과 췌액이 흐르는 통로인 담도나 췌관에 담석이 있을 경우에 수술을 시행치 않고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석을 제거하는 시술입니다. 일반적으로 담석의 크기에 비해 유두부가 매우 좁기 때문에 유두괄약근 절개술을 먼저 시행하고 여러가지 기구(바스켓, 풍선등)를 담도 내로 넣어 담석을 제거하게 됩니다.
3)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배액술 (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 ERBD, ENBD)
양성이나 악성 질환에 의한 담도 협착으로 발생한 담즙이나 췌액 정체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건강정보 > 질병포커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석증에 대하여 (0) | 2012.05.04 |
---|---|
담낭암에 대해 (0) | 2012.05.04 |
척추측만증-우리 아이 등이 휘었어요 ! (0) | 2012.05.02 |
10대 청소년 우울증 (0) | 2012.05.02 |
담도암의 증상과 치료 (0) | 201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