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건강한생활

금연 · 금식 필수… 환자정보 · 수술부위 재확인

제주한라병원 2017. 8. 28. 14:09

 

금연 · 금식 필수… 환자정보 · 수술부위 재확인

 

    

 

수술전 주의사항

    


 

1. 수술 전에 금식을 꼭 해야 하나요?

응급수술이 아닌 대부분의 경우 수술 전 금식이 요구되는 데요.(고체음식 8시간 액체 2시간)

우리가 고체음식을 먹은 뒤 위가 비워지는데 걸리는 최소한의 시간이 8시간(액체 2시간)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전신마취를 시행할 때 필수적 투여약물인 근 이완제를 투여 시 위가 음식물로 차있는경우, 기도 내로 음식물 + 위산이 역류하여 흡인성 폐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흡인성 폐렴은 노약자의 경우 사망률 50%에 이르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꼭 금식을 지키시고 수술전 양치질로 구강내 세균을 줄인다면 금상첨화

 

p.s. 부위마취의 경우 근 이완제가 필요 없고 의식이 명료한 상황에서 수술을 진행 할 수 있어 수술 전/후 금식에 좀 더 자유로운 면이 있으나 수술 전 금식은 부위마취에서 전신마취로의 전환 가능성이 있어 금식을 지킬것이 요구됩니다.



2. 수술 전 흡연자가 금연을 해야 하나요?

얼마나 해야 하나요?


흡연은 우리 몸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기도, 기관지, 폐와 같이 연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장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요 흡연시 기도의 민감성이 높아져 자극에 예민해지고 기관지와 폐의 섬모운동을 막아 오염물질을 가래로 배출하는 정상적인 방어가 정상인에 비해 약해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신마취시 기도 안 삽관, 마취가스사용, 인공호흡기 사용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동반되는 호흡기 부작용이 흡연자의 경우 정상인의 2배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수술 전 금연이 필요한데요 수술전 48시간 금연하시면 호흡기 부작용 발생률이 50% 감소합니다.



3. 수술 전 화장 & 매니큐어를 지워야 하나요?


수술실에서는 현재 환자의 상태를 파악 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신호를 주시하고 있는데요. 신호를 받기 위한 장치들은 대부분 피부에 부착되는 형태로 화장을 하시면 신호를 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화장을 하시면 전신마취시 기도에 꽂는관을 고정하는 장치가 고정이 잘 안되어 위험합니다.

매니큐어의 경우 손톱에서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가리게 되니 지우고 와야합니다.



4.시술 전 항응고제(아스피린, 플라빅스)를 끊으라고 하는데 끊어야 하나요?


심장혈관이나 뇌혈관 질환이 있으신 환자분의 경우 굳은 혈액이 혈관을 막아 질환이 재발되는 경우를 예방하고자 혈액의 응고를 막는 항응고제를 투여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항응고제를 중단치 않고 시술에 임할 경우 시술부위의 출혈이 잘 멎지 않으며 특히 신경주변을 바늘로 찌르는 부위마취 혹은 통증클리닉 신경차단술 시행시 신경주변에 출혈이 생길 경우 뭉친 혈액이 신경을 압박하여 심한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마취통증의학과에서는 주치의(항응고제 처방과)와 상의하에 아스피린의 경우 5일 플라빅스의 경우 7일이상 끊고 시술에 임하기를 권고하고있습니다.

p.s. 항응고제 중단이 어려운 상태인 경우 수술이 늦어질 시 더 위험한 경우에 한해 전신마취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5.수술전 개인정보와 병력를 묻는이유는 무었인가요


수술실에서는 환자 확인을 위해 타임아웃(time out)이라는 제도를 시행중에 있습니다. 이는 수술실에 들어온 사람이 환자본인인지(개인정보 등록번호 확인)/수술할 부위, 방향이 예정과 일치하는지를 수술전에 확인해서 오류를 줄이고자 시행됩니다.

또한 환자분의키, 몸무게, 개인병력에 따라 마취에 쓰이는 방식, 약물 종류와 용량이 개인에 맞추어 계획되며 이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수술진행에 불가해지거나 환자분의 건강을 위협하는 결과로 이어질수도 있습니다.

여러번 묻는이유는 정말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귀찮더라도 성실히 대답해 주세요.



6.마취 후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전신마취


1.호흡기 합병증을 예방하고 폐에 고인 마취가스를 배출하기 위해심호흡&기침을 많이 하셔야 합니다. 병동에 심호흡을 유도하고 폐활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구가 준비되어 이를 상용하여 좀 더 쉽게 심호흡을 할 수 있습니다.

2.마취시 투여된 근이완제가 몸에 남아있어 음식이나 음료를 삼킬때 근육의 부조화로 기도 흡인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근육의 기능이 완전히 돌아온것이 확인될 때 까지는 금식을 유지해야 합니다.



부위마취


1.척수마취를 한 경우 앉거나 누워서 고개를 들 경우 심한 두통이 생길 수 있으므로 3~4시간이상 누워서 안정하셔야 합니다. 


 

7.무엇보다 중요한것은...


수술의사와 마취의사의 실력만큼 중요한 ‘평소에 챙겨둔 건강’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