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영상장치 통해 인체조직, 기관 검사
각종 영상장치 통해 인체조직·기관 검사
-영상의학과-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의 대부분 진료과정에서 영상의학과를 거쳐 진단을 받고 치료과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영상의학과에서 진행되는 검사가 나의 질병진단에 적합한 검사인지 의문을 간혹 갖는 환자들이 있습니다. 물론, 환자 입장에선 여러가지 의구심을 가질 수 있지만 주치의는 해당질병에 대한 여러 각도로 판단하여 처방을 하기 때문에 의사를 믿고 따라주어야 할 것입니다.
영상의학과는 정상 인체 조직 및 기관 그리고 여기에 발생하는 질병을 각종 영상진단장치를 이용하여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있게 영상화하며, 이러한 영상을 통하여 질병을 진단합니다. 또한 중재적 시술을 통하여 질병의 치료에 관여하는 의학의 한 전문 분야입니다.
ㅇ CT
엑스선 전산화 단층 촬영(X-ray computed tomography) 또는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r tomography, CT)은 컴퓨터 처리가 만들어내는 단층 촬영을 이용하는 의학 화상 처리 방식의 하나입니다.
Coronary Angio CT, Aorta CT, Brain Angio CT, 사지혈관촬영 등 다양한 혈관촬영기법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제공되고 있습니다. 두경부, 폐, 식도, 종격동, 간, 위장관, 뼈 등의 거의 모든 장기의 종양성 질환, 몸의 거의 모든 질병이 검사 대상이 된다. 특히 두경부, 폐, 식도, 종격동, 간, 위장관, 뼈 등의 거의 모든 장기의 종양성 질환 및 외상을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ㅇ MRI
자기 공명 영상 (한자: 磁氣共鳴映像; 영어: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또는 핵자기공명 컴퓨터 단층촬영(Nuclear Magnetic Resonance Computed Tomography, NMR-CT)은 영상 기술중 하나로 핵자기공명 원리를 사용합니다.
주로 종양질환 및 연골조직질환, 각종연부조직질환등을 검사하고 있습니다. 뇌종양, 허혈성 뇌경색, 뇌출혈, 뇌감염, 뇌 기형, 퇴행성 뇌질환, 척수종양 및 다발성 경색, 자궁경부암, 전립선암 검사에 이용합니다.
ㅇ SONO
초음파 검사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탐촉자를 검사 부위에 밀착시켜 초음파를 보낸 다음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실시간 영상화하는 방식으로 검사가 진행됩니다. 따라서 초음파 검사는 간편하고, 검사 시 환자가 편안하며, 인체에 해가 없기 때문에 영상 검사 중 가장 기초가 되는 검사기법입니다. 특히 유방, 갑상선, 근골격과 같이 우리 몸의 표면에 위치한 구조를 쉽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컴퓨터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에 비해 검사 장비를 쉽게 움직일 수 있으며 실제 움직이는 구조물을 볼 수 있어, 중환자나 수술 직후 환자의 중재적 시술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습니다. 본원에서는 상복부 초음파 검사, 간 초음파 검사, 정맥류 초음파 검사, 부인과 초음파 검사, 전립선 초음파 검사, 고환 초음파 검사, 근골격계 초음파 검사, 갑상선 초음파 검사, 유방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각 검사장비의 고유 특성에 의하여 다양한 검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환자질병의 대부분을 알아낼 수 있으나 영상검사만으로 질병을 단정짓는 것은 위험한 결정이므로 문진,촉진,청진, 혈액검사,심전도,혈압검사,조직검사등 여러검사를 동원하여 하나의 질병을 확진하게됩니다. <부강혁 영상의학과 기사장>